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바이올린 소나타 21번 E 단조, K.304
I. Allegro 빠르게
II. Tempo di Menuetto 미뉴에트 풍의 빠르기로
1777년, 모차르트는 아버지의 성화에 파리로 일자리를 찾으러 갔다. 한때 환호를 보냈던 파리의 청중은 더 이상 관심을 보내지 않았다. 궁핍함과 객지 생활의 고단함 속에 어머니 안나 마리아가 세상을 떠난다. 어머니를 잃은 슬픔, 아버지에 대한 원망, 좋았던 시절을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22살 청년은 이 21번 바이올린 소나타를 쓴다.
바이올린 소나타라 부를 수 있는 모차르트의 작품이 몇 개인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관점에 따라 그 수는 26개에서 42개 까지에 이른다. 쾨헬 번호 6에서 15까지의 작품은 바이올린 반주가 있어도 되는 하프시코드 소나타라고 적혀있다. 바이올린과 함께 연주해도 되고 없어도 된다는 뜻이다. 심지어 10-15번은 플루트와 함께 연주해도 된다고 쓰여있다. 쾨헬 번호 26에서 31까지의 작품엔 '바이올린 반주에 의한 여섯 개의 하프시코드 소나타'라는 제목이 붙어있다. 더 이상 바이올린을 옵션으로 상정하지는 않지만 보조적인 역할임은 여전하다.
신성로마제국의 선제후 選帝侯인 팔라틴의 부인 마리아 엘리자베스에게 헌정된 '팔라틴 소나타'집의 6곡이 바이올린 소나타라 불릴 수 있는 첫 작품들이다. 26개건 42개건 간에 바이올린과 건반을 위해 쓴 곡 중에서 유일한 단조의 곡이 21번 소나타다. 같은 시기에 쓰인 피아노 소나타 8번처럼 고독과 슬픔의 감정이 담겨있다. 바이올린과 건반이 대등한 위치에서 주고받는 대화를 듣노라면 회한의 기억과 위로가 교차하는 느낌을 받게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